windows 7 wim 업데이트 통합, 프로그램 설치 후 iso 수정[2016.08.18]
우선 출처를 밝혀두자면,
[2009/11/22 - 자신만의 윈도우 7 설치 DVD 만들기 (VMware+Sysprep + ImageX + 윈도우 7 설치 DVD 원본 ISO) - ShinB]
[2010/01/13 - 윈도우 7 - ImageX를 통한 Sysprep 봉인 윈도우(만능 고스트) 만들기 정리 - ShinB]
[2009/11/21 - 윈도우 7 설치 - 감사 모드(Audit Mode)를 통해 일반화 작업하기 (Sysprep 봉인, 만능 고스트)]
이다.
목적은 여러 대의 컴퓨터에 똑같은 운영체제를 재설치(SSD만 교체하는 작업..) 해야 하는데 설치하려는 컴퓨터 사양이 그리 좋지 않아 업데이트, 설치에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므로 최대한 시간을 줄여보고자 시도하는 것이다.
1. 윈도 7 업데이트 통합하기.
DISM(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; 배포 이미지 서비스 및 관리)을 주로 이용다.
- 『dism /get-wiminfo /wimfile:install.wim』 입력, 수정할 index number를 알아 둔다.
- mount할 폴더를 하나 만들어 두고 (여기선 mt라 하자.) 마운트한다.
『dism /mount-wim /wimfile:install.wim /index:index number /mountdir:mt』
- 업데이트 통합.
『dism /image:mt /add-package /packagepath:update files path』
돌려놓고 컴퓨터가 절전모드에 빠지지 않게 설정해 둔 뒤 라면 하나 끓여먹고 집안일 좀 하다가 오는 걸 추천..ㅎ (업데이트양이 많기때문에)
- 폴더 unmount.
『dism /unmount-wim /mountdir:mt /commit』.
혹시 오류가 생겨 중단한 경우, 변경 사항 삭제가 필요하면 마지막부분에 commit 대신 discard를 써 주면 된다.
(1-1. wim 파일 교체 - ultraISO 프로그램 이용 iso 수정 or usb NTFS 형식으로 제작 후 직접 교체)
참고로 exe파일을 update에 같이 넣고 싶다면 cmd에서 『"파일명" /x:"exe 풀 폴더명"』 이용
2. vmware(workstation pro에 포함된 player version을 이용해야 함. 추후 mapping을 위해) 상에서 프로그램 설치 후 sysprep 봉인 작업
- "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."로 설치.
- 반드시 예약파티션 없이 설치 진행한다.
- "Windows 7 Proffesional K" 이런식으로 뜨며 사용자 이름 및 컴퓨터 이름 설정하는 창이 뜰 것이다. OOBESystem 단계라고 한다. 여기서 감사모드 진입 : Ctrl+Shift+F3.
- 프로그램 깔기 ㄱㄱ (for All users로 설치해야 함, 재시작 No!) 문제가 생겼을 때 대비를 위해 take snapshot(vmware) 찍어가며 설치.
- 설치한 프로그램 그룹 경로
『Users\Administrator\AppData\Roaming\Microsoft\Windows\Start Menu\Programs』에서
『ProgramData\Microsoft\Windows\Start Menu\Programs』로 이동.
- 바탕 화면 경로 admin->public으로 이동.
『Users\Administrator\Desktop』에서
『Users\Public\Desktop』 (필자는 어차피 바탕화면에 아무것도 안 놓는 걸 좋아해서 필요없긴 하다... 그러나 혹시나 이 글을 누군가 보고 필요할 수도 있어 적어둔다.)
- 실행 - 『C:\Windows\system32\sysprep\sysprep.exe /generalize /oobe /shutdown』 입력. (어차피 관리자모드라 그냥 써도 된다.)
3. wim 파일 최종 수정
- vmware player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가상 머신의 settings의 Hard Disk 부분에서 map을 누르고 "open file in read-only mode" 체크된 상태로 빈 파티션으로 마운트.(ex:U:\)
-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, imageX파일이 있는 위치로 가서
『imagex /compress fast /check /scroll /capture U: Z:\install.wim "Windows 7 Proffesional K"』
(빠른 압축, 이미지 파일 무결성 check, 이미지 과정 scroll, U:\ 내용을 V:\install.wim로 만듦, 이미지 설명 : 윈7프로K)
- vmware에서 U:\ disconnect.
install.wim 파일이 생길 것이다..!
물론 이 수정한 wim파일에 1번을 재적용 해도 될 것 같긴 하나, 시도해 보진 않았다.
win10 16-08-27 추가
2. vmware에서 설치
우선 시스템 감사 모드로 들어가서 한글2014를 설치할 때 닷넷프레임워크 3.5가 깔리지 않아 불편하다. (인터넷 연결을 배제했기 때문에)
이 때는 윈도 설치 미디어를 탑재한 다음 관리자 모드 Cmd에서
Dism.exe /online /enable-feature /featurename:NetFX3 /All /Source:E:\sources\sxs /LimitAccess
를 입력한다. (이 때 E는 윈도 설치 미디어의 위치. )(출처 : How to enable .NET Framework 3.5 on Windows 8 in Offline Mode)
3. wim 파일 생성.
4. wim->esd 파일로 변환
dism /export-image /sourceimagefile:install.wim /sourceindex:index number /destinationimagefile:install.esd /compress:fast
5. iso 파일에서 source폴더의 install.esd 변경
'os > windo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mportError DLL load failed while importing 지정된 모듈을 찾을 수 없습니다 해결 [23.03.31] (0) | 2023.03.31 |
---|---|
windows 10 wim(esd) 업데이트 통합, 프로그램 설치 후 iso 수정 [2016.08.29] (0) | 2016.08.29 |
windows 7 efi 방식으로 부팅하기 [2016.06.18] (0) | 2016.06.18 |